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 element.0:00지난 2024년 8월13일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서울 강남구 티몬 사무실 앞에서 연 집회. 당시 이들은 현금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파산이나 회생을 검토할 수 밖에 없는 사정이라고 밝히며 정부가 내놓은 지원책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그날’ 이후 삶은 무너졌다. 이아무개(39)씨는 생필품을 팔던 유통 사업을 정리했다. 7년 정도 해온 일이었다. 정부 정책자금 대출, 차량 담보 대출, 신용 대출 등 “빌릴 수 있는 모든 돈”을 빌렸다. 대부업체에도 손을 벌렸다. 상품 대금에 직원들 월급과 퇴직금을 주기 위해서였다. 썰물처럼 빠져나간 돈 대신, 마음에 공황과 우울이 찾아왔다. 매달 내야 할 원리금이 1200만원에 달했다. 수면제와 술 없이는 잠을 청하기 어려웠다. 운동하려고 방문에 달아놓은 철봉을 보고 다른 생각을 품기도 했다. 그나마 지난 1년여를 버틸 수 있었던 것은 두 딸이 있기 때문이었다. 50대 중반 ㄱ씨도 ‘그날’ 이후 “할 수 있는 게 없고, 물살에 휩쓸려가는 것처럼 무기력하게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에 인생이 망했다고 보는 것밖에 없다”고 말했다.
‘티메프 사태’ 1년…“삶이 유지가 안 된다”
지난 9일 서울회생법원이 위메프의 기업회생절차 폐지 결정을 내리면서, 이른바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해 피해자들이 구제받을 길이 사실상 사라지게 됐다. 피해자들은 이 사태가 발생한 지난 1년여 동안 직원 감축과 사업 축소, 정부의 정책자금 대출로 근근이 버티고 있지만, 내년부터 원금 상환이 본격화되면 개인회생·파산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한다. 우울증, 대인관계 축소 등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사람도 적지 않다.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사람이 죽어 나간 뒤에야 피해자들에게 눈길을 줄 것인가”라는 절박한 호소가 나오는 이유다.
이 사태는 지난해 7월 발생했다. 큐텐그룹 산하의 이커머스 업체인 티몬과 위메프가 판매자에게 지급해야 할 돈을 유용하다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일으켰다. 이후 두 기업은 나란히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갔다. 금융감독원은 이들이 입점 업체에 지급하지 못한 대금은 1조2790억원, 피해 업체 수는 4만8천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티몬은 지난 6월 오아시스가 최종 인수해 재출발을 노렸지만, 피해자들의 반발로 재개장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인수자를 찾지 못한 위메프는 서울회생법원이 회생폐지 결정을 내리면서 누리집에 서비스 종료 안내 공지를 하는 등 사실상 파산 절차에 접어들었다.
법원 결정으로 기업은 정리됐지만, 피해자들은 막대한 빚을 그대로 떠안게 됐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직원을 내보내고 사업 규모를 줄이며 고정비 부담을 줄였지만, 회복하기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은다. 판매 대금을 정산받지 못했지만, 거래처에 지급해야 할 대금이나 금융기관 대출금 등은 갚아야 하므로 물류센터·배달 부업을 하는 이들도 적잖다. 이씨는 “삶이 유지가 안 된다”며 “얼마 전 (피해자들이 모인) 단체 카카오톡 방에선 죽음을 암시하는 글을 남기고 나간 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0.75% 변제마저 은행이 가져가고
피해자들을 옥죄는 것은 티메프가 주지 않은 ‘미정산 대금’만이 아니다. 티메프는 입점 판매자에게 대금을 정산해 줄 때 2∼3개월의 시차를 둬왔다. 판매자가 돈을 완전히 받기까지 최대 3개월이 걸렸다. 이 때문에 많은 판매자는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은행의 ‘선정산 대출’ 서비스를 이용해왔다. 티몬·위메프에게 받을 판매 대금을 담보로 은행이 먼저 돈 을 빌려주고, 이후 대금을 정산받으면 이들이 은행에 이자를 더해 갚는 방식 이다. 피해자 ㄴ씨는 “어떻게 보면 우리 돈을 5% 넘는 이자를 내며 빌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 고 말했다. ㄴ씨의 미정산 대금은 50억원가량, 은행에서 받은 선정산 대출은 30억원이 넘는다. 50억원을 믿고 땡겨쓴 30억은 고스란히 빚으로 남았다.
지난 2024년 8월 ‘티메프 사태 피해 판매자들이 구영배 큐텐 대표 등 4명에 대한 고소장을 접수한 서울 강남구 강남경찰서 앞에서 손팻말을 들고 시위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신선식품 기업 오아시스가 인수한 티몬의 경우, 회생법원은 티몬의 채권 변제율을 0.75%로 정했다. 티몬 미정산 채권은 약 7456억원인데 갚아야 할 변제 금액은 56억원가량인 것이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이마저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한다. 선정산 대출 계약 과정에서 법인 대표와 티몬이 연대보증(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할 경우 대신 갚을 사람을 지정)으로 묶여, 피해자들은 후순위로 밀리고 은행이 먼저 티몬으로부터 변제를 받기 때문이다. 피해자 강아무개(43)씨는 미정산 금액 18억6천만원 중 1400만원 정도를 변제받을 수 있었는데, 이 가운데 선정산 대출을 해준 에스씨(SC)제일은행이 1천만원을 가져갔다. 강씨에게 돌아온 건 400만원뿐이었다.
대출은 마취제일 뿐이지만… “당장 사업 이으려면”
티메프 사태 이후 피해자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는 건강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심아무개(42)씨는 “이자를 꼬박꼬박 내며 최대한 속을 끓이지 않으려 하지만, 꾹꾹 참은 게 병이 된 건지 지난해부터 동맥경화, 우울증, 스트레스성 인지 저하까지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태 직후 매일같이 독주를 마셨다던 이씨는 우울증과 공황장애 등 정신과 약을 먹고 있다. 피해자 송아무개(56)씨는 “지금도 가만히 있다 보면 갑자기 불안감과 우울감이 엄습한다”고 말했다.
티몬·위메프(티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이 지난 2024년 8월13일 서울 강남구 티몬 사무실 앞에서 검은 우산 집회를 열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당초 티몬의 회생계획안에는 티메프 모회사였던 큐텐그룹의 구영배 대표 등이 큐텐 청산 등을 통해 1천억원대 손해를 배상하겠다는 변제방안이 포함돼 있었다. 또한 구 대표는 지난해 7월 사재 출연을 약속하기도 했지만 7시간만에 기업회생을 기습적으로 신청해 논란이 일었다. 현재 구 대표 등은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어 더는 피해 회복을 기대하기란 어려운 상황이다. 1조원대 정책자금 지원 등 대책을 발표했던 정부도, 떠들썩하게 관심을 보이던 정치권도 이제 더는 ‘티메프 사태’를 입에 올리지 않는다. 강씨는 “야당일 때 더불어민주당은 티메프 관련 모든 기자회견에서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에게 구상권을 청구하겠다고 했는데, 정권이 바뀌니 아무도 이 얘기를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심씨는 “대통령이 티메프 피해자들도 만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피해자들은 당장 사업을 이어가려면 ‘추가 대출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내년 하반기부터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상환해야 하는 시기가 오면 지금보다 많은 중소 판매자들이 개인회생이나 파산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피해자 송씨는 “최소한 사업이 궤도에 오를 때까지만이라도 무이자 대출을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ㄱ씨는 “아직 파산 전인 위메프를 중소기업벤처부 산하의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이 인수한다면 피해자들도 피해를 일부 구제받고, (티메프 사태 이후 심화된) 이커머스 독과점에 대한 대책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서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이주빈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