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 element.0:00
지난 2월 10일 워싱턴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지난 1월 15일 폴란드 바르샤바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 연합뉴스
백악관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적 해결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기존 28개 항과 완전히 다른 19개 항으로 된 새로운 평화안을 작성했으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은 양국 대통령의 결정으로 미뤄둔 것으로 전해졌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각)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이견은 단지 몇 개에 불과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가 도출될 수 있다는 희망과 낙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좋은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고 적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젤렌스키 비난 글) 이후 대통령 국가안보팀과 우크라이나 대표단 간 매우 생산적인 대화를 하였다”며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스티브 위트코프 특사가 제네바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양쪽 의견이 들어간, 미국이 제안한 28개 조항의 평화구상을 철저히 검토할 수 있었다. 그들은 정말 조항들을 세밀하게 조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을 “평화 시기의 대통령”이라고 칭하며 “그는 낙관적이고 희망적이며, 우리 팀이 이 협상을 종식하기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고 강조했다.
제네바에서 합의한 안은 기존 언론공개본에서 크게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폴리티코는 이날 협상에 정통한 인사를 인용해 “원래 28개항이던 계획이 19개항으로 축소되었으며, 영토 문제는 정상급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도 세르히 키슬리차 우크라이나 외무부 제1차관을 인용해 “몇몇 사안에 대해서는 합의에 도달했지만, 영토 문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의 관계와 같이 가장 논쟁이 될 만한 부분은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결정하도록 괄호로 묶어 뒀다”며 “원래 안에서 남은 게 거의 없다”고 했다.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